분류 전체보기17 ROE는 높아도 무조건 상승하는 주가는 아니다: ROE와 주가의 복잡한 상관관계 ROE(자기자본이익률)는 기업의 이익과 자기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ROE는 자기자본에 대한 이익을 나타내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ROE가 높은 기업을 투자 대상으로 선호합니다. ROE가 높은 기업은 효율적으로 자기자본을 활용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OE가 높다고 해서 기업의 주가가 무조건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ROE는 기업의 이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주가는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업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ROE가 높은 기업이라 할지라도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거나 경쟁사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주가는 낮을 수 있습니다. ROE와 주가 상관관계 ROE와 주가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2023. 2. 26. PBR: 주식시장에서 가치와 성장을 말하는 지표? 주식투자를 하면서 처음에 마주치게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다양한 주식 용어들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이해하지 못하면 주식시장에서 투자를 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집니다. 이번에는 PBR이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BR이란? PBR은 Price to Book Value Ratio의 줄임말입니다. 즉, 주가 대비 자기자본 비율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 비율이란 기업의 자기자본이 총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PBR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 가치를 주가로 환산한 비율입니다. 일반적으로 1이하의 PBR을 가지는 주식은 가치주로 분류되며, 1을 초과하는 주식은 성장주로 분류됩니다. PBR과 주가관계 PBR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 2023. 2. 26. 우량주란 무엇인가? 우선주 vs 보통주, 어떤 주식을 사야할까? 주식시장에서는 다양한 종목들이 거래되고 있지만 이 중에서도 우리가 눈여겨봐야 하는건 단연 '우량주'입니다. 우량주는 말 그대로 기업가치가 높고 경영실적이 좋은 회사의 주식을 뜻하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조건을 갖춰야 우량주로 분류될 수 있을까요? 먼저 재무구조가 탄탄해야 합니다. 부채비율이 낮고 유보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또한 배당금 지급률이 높아야 하는데요.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는 차원에서 실시하는 배당금은 투자자 입장에선 주가 상승과 더불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시장점유율이 높아 독점성을 확보하면 좋습니다. 경쟁자가 적어 그만큼 영업이익 창출기회가 많기 때문입니다. 우선주와 보통주 삼성전자 같은 경우엔 이미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로서 브랜드 .. 2023. 2. 26. PER(주가수익비율)이란 무엇이고, 주가분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주식투자자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용어인 PER(Price Earning Ratio)란 한 기업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지표는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특정 회사의 주식가격이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만원이고 주당 순이익이 2천원이라면 A사의 PER는 5배라고 표현합니다. 만약 B라는 기업의 PER가 10배라면 해당 기업의 주가는 이익과 비교해서 고평가되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가 낮을수록 저평가 되어있다는 의미이며, 높을수록 고평가 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PER 계산방법 알려주세요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입니다. 즉, 어떤 기업의 시총이 100억원이고 당기순이익이 10억원이라면 PER는 10배가 됩니다... 2023. 2. 25. 이전 1 2 3 4 5 다음